Electronics

전체기사 보기

SK C&C, 북미·유럽 등 글로벌 이차전지 생산 공장 겨냥한 스마트 머…

SK C&C, 하나기술과 ‘이차전지 생산 공장 맞춤형 스마트 머신 공동 개발’ 협약 이차전지 공장에 빠르게 공급 가능한 일체형 스마트 머신 공동 개발… 글로벌 시장 진출 추진 하나기술 ‘초고속 스태킹(Stacking)’ 장비에 SK C&C ‘AI+에지(Edge) 기술’ 탑재

SK C&C, 북미·유럽 등 글로벌 이차전지 생산 공장 겨냥한 스마트 머신 만든다

SK C&C는 28일, 하나기술과 ‘이차전지 생산 공장 맞춤형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 공동 개발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SK C&C가 다년간 SK멤버사를 비롯해 대외 제조현장에서 쌓은 디지털 팩토리 사업 노하우와 AI·클라우드·빅데이터·에지(Edge) 기술을 활용해, 하나기술 전체 공정장비를 스마트 머신으로 전환하는데 목표가 있다. 이를 통해 하나기술 장비 생산능력을 향상시킨다는 전략이다. 최근에는 글로벌 이차전지 공정 장비 수주물량이 확대되면서 공정 장비 고도화와 전고체 배터리 핵심 장비, 폐배터리 재활용 장비 등 사업 다각화를 추진하고 있다.이번 협약에 앞서 양사는 SK C&C가 보유한 ‘AI+에지(Edge)기술’을 하나기술 주요 장비에 탑재해 라인 성능 테스트를 진행했다. 이를 통해 생산 라인 전반에서 미세한 장비 이상을 감지해 셀 품질 불량을 방지하고 장비 고장을 사전에 감지하는 예지정비 효과를 확인했다.양사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이차전지 공장에 빠르게 공급 가능한 일체형 스마트 머신을 공동 개발하고, 이를 통해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한다는 계획이다. 북미·유럽 등 하나기술의 글로벌 이차전지 고객사를 대상으로 스마트 머신 공급을 위한 공동 개발 및 사업 협력을 진행한다.이차전지 업체 외에도 하나기술이 진행 중인 글로벌 자동차 업체 대상 파일럿 라인용 장비 구축 사업에도 스마트 머신 접목을 추진한다.이에 따라 양사는 이차전지 생산 공장 수요가 많은 스태킹(Stacking) 장비부터 ‘AI+ 에지(Edge)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 머신으로 전환하는 작업을 시작한다. 스태킹 장비는 이차전지 제조 공정 핵심 장비로, 양극재와 음극재 등 배터리 구성품을 쌓는 역할을 맡고 있다. 하나기술은 택트 타임(초당 생산성) 기준으로 세계 최고 수준인 0.4초 초고속 스태킹 장비를 보유하고 있다.스마트 머신은 설치와 동시에 제조 공정 과정에서 상세 데이터를 수집해 제품 불량과 미세한 장비 이상동작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제어해, 고장을 방지하고 생산능력을 개선한다. ‘AI+에지(Edge) 기술’을 적용한 장비에서 수집된 상세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품 불량과 장비 고장을 유발하는 이상 동작을 실시간으로 식별함은 물론 자율 제어를 통해 이상 동작을 방지한다.공장 내 특정 생산 라인이나 장비에 대한 생산성 평가로, 최적의 장비와 동일한 제어를 통해 장비 상향 평준화도 유도한다. 또한, 생산 저하가 예상되는 장비에 대한 예지정비도 안내한다. 이를 위해 생산 공정 전체에서 수집되는 실시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의 장비 제어로직을 분석하고 동일 유형 장비에 적용해 전체 장비 생산능력을 향상시키고 생산성 저하나 고장 가능성을 사전에 파악해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한편 양사는 향후 스마트 머신 적용 영역을 전체 조립공정과 화성공정 장비로 확대하고, 동시에 이차전지 공장 스마트팩토리 전환에도 상호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하나기술 전략마케팅 총괄 이인식 전무는 “이번 협약을 통해 하나기술에서 공급하는 이차전지 공정장비를 지능화한 스마트 머신으로 전환함으로써, 고객에게 높은 품질과 수율을 보장하는 차원이 다른 제품과 서비스를 공급하게 될 것”이라며 “케즘에 어려움을 겪는 이차전지 기업들이 데이터를 활용해 수율 및 품질을 향상시키고, 공정장비 업체와의 경쟁에서 시장 패러다임을 바꾸는 게임체인저가 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SK C&C 김민혁 Digital Factory사업단장은 “이차전지 생산 장비를 스마트 머신화 하면 현장에서 파악하기 어려운 세밀한 제조 변수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수율 향상과 제조 원가 절감 효과 뿐만 아니라 안전한 생산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며 “하나기술과 함께 글로벌 이차전지 생산 공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해 새로운 디지털 팩토리 수출 성공 모델을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웹사이트: http://www.skcc.com

슈나이더 일렉트릭, 프롤로지움과 배터리 생산 최적화 위한 업무협약 체결

프랑스 덩케르크의 프롤로지움 기가팩토리에서 리튬 세라믹 배터리 생산 최적화 예정

슈나이더 일렉트릭, 프롤로지움과 배터리 생산 최적화 위한 업무협약 체결

슈나이더 일렉트릭이 대만의 전고체배터리 기업 프롤로지움(ProLogium)과 배터리 생산 최적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슈나이더 일렉트릭, 프롤로지움(ProLogium)과 배터리 생산 최적화 위한 업무협약 체결 슈나이더 일렉트릭과 프롤로지움은 각 사의 노하우를 결합해 스마트 제조 및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고 프랑스 북부 덩케르크(Dunkirk) 지역에 위치한 프롤로지움의 기가팩토리에서 리튬 세라믹 배터리 생산을 최적화할 예정이다.양사의 파트너십은 기가팩토리의 배전 및 산업 자동화 시스템을 디지털화해 제조 및 품질 프로세스의 운영 효율성을 개선하고 생산 시설의 에너지 소비와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블룸버그 뉴 에너지 파이낸스(Bloomberg New Energy Finance)의 경제 전환 시나리오에 따르면, 2038년까지 유럽에서 판매되는 모든 자동차 중 전기차의 점유율이 81%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에너지 및 생산 폐기물, 탄소 배출량을 줄이고, 공정 성능을 최적화하고 배터리 재활용 체계를 통합하는 솔루션이 유럽의 배터리 제조 가치사슬을 강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프랑스 덩케르크에 들어설 프롤로지움의 배터리 제조 공장은 리튬 이온 전지보다 더 강력하고 안전하며 충전 속도가 빠른 리튬 세라믹 배터리를 생산하고, 프랑스의 탈탄소 에너지를 사용해 제조하는 유럽 전기차 산업의 중요한 현지 공급업체가 될 것으로 보인다. 슈나이더 일렉트릭 프랑스 사업부 총괄 부사장인 로랑 바타이유(Laurent Bataille)는 “프롤로지움과의 이번 업무협약은 프랑스 정부의 녹색 재산업화 전략에서 양사가 수행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입증하는 동시에, 앞으로 나아갈 회복력이 있는 미래에 대한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비전을 나타낸다”며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디지털화와 전기화를 기반으로 더욱 지속 가능하고 에너지 효율적인 사회를 위해 노력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산업용 소프트웨어 제품군을 통해 지원되는 심층적인 산업 및 에너지 분야 전문 지식을 활용해 기업이 스마트 팩토리를 구축하고, 혁신적이며 지속 가능하고 효과적인 엔드투엔드(End-to-End) 디지털 혁신을 달성하는 것을 돕고 있다. 이를 통해 기업은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고, 자산 최적화 및 사이버 보안 등 다양한 목표에 걸쳐 입증 가능한 영향력을 달성할 수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com/kr/ko

인피니언, AI 데이터센터 에너지 효율 높이는 전원공급장치 로드맵 발표

인공지능으로 전 세계 데이터센터의 에너지 수요 증가 Si, SiC, GaN 기반의 새로운 PSU로 인피니언의 선도적 지위 강화 AI 데이터센터 운영자는 업계 최초의 12kW PSU를 사용해서 더 높은 에너지 효율, 전력 밀도, 신뢰성 달성

인피니언, AI 데이터센터 에너지 효율 높이는 전원공급장치 로드맵 발표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는 AI 데이터센터의 현재 및 미래의 에너지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특별히 설계된 전원공급장치(PSU) 로드맵을 발표했다. 인피니언 8kW PSU 인피니언은 전례 없이 높은 PSU 성능을 제공함으로써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및 AI 서버 운영자들이 시스템 냉각에 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도록 지원한다. 혁신적인 PSU는 전력 소비와 CO2 배출량을 줄여 수명 기간 동안 운영 비용을 절감하도록 한다. 이 강력한 PSU는 미래의 데이터센터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서버의 기존 전원공급장치를 대체해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미 출시된 3kW 및 3.3kW 출력의 PSU와 더불어 새로운 8KW 및 12kW PSU는 AI 데이터센터의 에너지 효율을 더욱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다.인피니언은 시스템 효율을 높이고 다운타임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데이터센터 운영자들의 요구에 대응하고 있다. 서버 및 데이터센터 애플리케이션의 성장으로 전력 요구량이 증가하게 됐으며, 800W에서 최대 5.5kW 이상의 더 높은 전력 정격의 전원장치 개발이 필요하게 됐다. 이것은 AI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GPU(그래픽 프로세싱 유닛)의 전력 요구량 증가에 따른 것이다. 현재 하이레벨 GPU는 칩당 최대 1kW를 필요로 하며, 2020년대 말에 이르면 2kW 이상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데이터센터의 전반적인 에너지 수요 증가로 이어질 것이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데이터센터가 2030년 전 세계 전기 소비의 7%까지 차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는데, 이는 현재 인도의 전기 소비량과 비슷한 수준이다. 인피니언의 새로운 PSU는 빠르게 증가하는 에너지 요구량에도 불구하고 AI 데이터센터의 CO2 발자국을 제한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매우 높은 효율로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인피니언의 차세대 PSU는 97.5%의 효율을 달성하고 엄격한 성능 요건을 충족한다. 새로운 8kW PSU는 최대 300kW 이상의 출력을 가진 AI 랙(rack)을 지원할 수 있다. 효율성과 전력 밀도가 기존 3kW PSU의 32W/in³에 비해 100W/in³로 향상돼 시스템 크기와 운영 비용 절감에 더 많은 이점을 제공한다. 기술적 관점에서 이는 세 가지 반도체 재료인 Si, SiC, GaN의 독특한 조합을 통해 가능하다. 이러한 기술은 AI 서버 및 데이터센터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과 신뢰성에 기여한다. SiC와 GaN 같은 와이드 밴드갭 소재에 기반한 혁신적인 반도체는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웹사이트: http://www.infineon.com










포토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